미안하다는 말은 후회를 전달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는 잘못으로 인해 야기된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 필요한 자기 굴욕의 의식입니다
Mishnah에 따르면,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람의 범죄는 그녀가 자신의 잘못의 희생자로부터 직접 용서를 받을 때까지 속죄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는 현대 히브리어로 사과라고 하는 hitnazlut 를 만드는 것이 포함됩니다. 히트나즐루트(Hitnazlut )는 히브리어 아카데미가 "실수, 불편을 끼친 점, 지각 등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그러나 사과의 본질은 후회의 의미에 있는 것인가 , 아니면 그 표현에 있는 것인가?
이 질문에 답하려면 먼저 사과가 필요한 상황에 대해 말해야 합니다. 둘 중 한 사람의 해로운 행동으로 인해 두 사람의 관계가 손상되는 상황입니다. 그 피해는 금전적이거나 물리적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그 핵심에는 가해자가 가해자에게 전달하는 무례한 메시지가 있습니다. 이는 가해자의 과실 없이 금전적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모욕감이 없고 사과를 바라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추할 수 있다. 반면에 상대방에게 화를 내거나 단순히 무시하는 등 금전적, 신체적 피해가 없는 경우에도 사과가 예상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과는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손상된 관계를 어떻게 회복시켜야 할까요? 위에서 언급한 첫 번째 옵션에 따르면, 바로 후회의 경험으로서의 사과는 가해자의 마음의 내부 변화를 통해 그렇게 합니다. 가해자는 그녀의 공격적인 행동이 정당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앞으로 그녀의 전 피해자에 대한 내면의 태도는 존중할 것이며, 앞으로 그들의 상호작용은 이번 변경 이전의 상호작용과 다를 것입니다.
하지만 사과가 이런 내적 과정이라면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이런 유감을 표명하는 의도, 즉 사과하는 행위 자체("너에게 이런 저런 일을 해서 정말 미안하다")? 유일하게 가능한 대답은 그 역할이 가해자가 겪은 변화를 부상당한 당사자에게 알리는 것입니다. 마치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이렇게 말한 것과 같습니다. “지난주에 내가 당신을 끔찍하게 대했기 때문에 당신이 원한을 품고 있다는 것을 압니다. 그러나 당신은 내가 그것에 대해 생각했고 내가 틀렸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제 너에 대한 내 태도가 달라졌으니 더 이상 네가 원망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런 말로 피해자의 원한이 풀릴까요? 나는 그것을 의심한다. 그 이유를 이해하려면 피해자에게 그녀가 겪은 내부 과정을 알리는 사람이 아니라 가해자의 가까운 친구 또는 그녀가 이러한 변화를 겪도록 도운 심리학자라고 상상해 보십시오. 심리학자가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가해자가 복잡한 내부 절차를 거쳤고 그 결과 이제 피해자를 정중하게 대하기로 결심했음을 알린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분명히 심리학자가 하는 일은 사과에 해당하지 않으며 가해자에 대한 피해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제거하는 데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는 가해자가 이 메시지를 전한다 하더라도 피해자 자신의 마음과 생각의 변화를 단순히 알리는 것이 목적이 아님을 시사한다.
더욱이, 사과의 성공이 가해자가 그러한 깊은 변화를 겪었다는 피해자를 설득하는 데 달려 있다면 그러한 성공은 매우 드물 것입니다. 깊은 변화가 필요한 이유는 피해자가 심각하게 기분이 상한 정도에 따라 가해자의 행동을 그녀에 대한 심각하고 우발적이지 않은 무례한 행동으로 해석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해석 때문에 피해자는 가해자가 자신에 대한 태도를 완전히 바꿨다는 사실을 믿기 어려울 것입니다. 특히 문제가 된 사건 직후 사과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따라서 강력한 증거가 없는 경우 피해자는 가해자가 “새로운 사람”으로 개종했으며 피해자에 대한 모든 부정적인 짐을 제거했다고 믿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고려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사과의 개념에 대한 다른 해석을 가리키며, 이에 따르면 사과의 목적은 피해자가 겪었던 내적 과정에 대한 좋은 소식을 피해자와 공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그 목표는 무엇입니까? 특히 사과는 어떻게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를 회복시키는가?
Bill Miller의 책 Faking It 에서 영감을 받은 제 제안 은 사과는 자기 굴욕 의식이라는 것입니다. 피해자의 기분을 상하게 함으로써 가해자는 피해자
보다 위에 위치 하여 그들 사이에 비대칭을 형성했습니다. 피해자가 가해자와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반대의 비대칭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는 두 사람 사이의 권력 관계를 역전시키는 다양한 사과 의식을 통해 가해자에게 굴욕감을 주는 것이다. 이 제안에 따르면, 피해자는 가해자가 어떤 형태로든 회심했다고 확신하기 때문에가 아니라 적절하게 수행된 사과의 형태로 표현되는 가해자가 기꺼이 자신을 모욕하려는 의도가 가해자를 용서하기 시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그들 사이의 치유 과정.
이 제안을 통해 우리는 교사가 지시하는 유치원생처럼 "미안해"라고 중얼거리는 것과 달리 진정으로 사과하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려운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에게 사과하는 것과 하나님의 용서를 구하는 것의 엄청난 차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피해자의 자존심에 상처를 치유하고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화해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사과가 필요하다. 후자의 경우에 전능자는 물론 실제로 해를 입거나 기분이 상하지 않으며, 말하자면 그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죄인의 자기 사면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한 자기 부정이 가치 있는 만큼(구두 고백, 베옷 입는 등의 행위를 통해),
동시에, 마음을 상하게 한 사람을 달래는 것과 전능하신 분을 달래는 것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두 경우 모두 자신의 자아를 억제하려는 의지가 없으면 치유될 수 없으며, 가해자/죄인이 그러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면 동료 인간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개선을 위한 올바른 길에 있는 것입니다. 전능자 앞에 서 있는 그녀. 그러면 그녀는 “하나님과 사람 앞에 은총과 총명을 입” ( 잠언 3:4 )할 수 있습니다.
CONVERSATION